『열린다 성경』의 '겨자씨' 해석, 유감
『열린다 성경』의 '겨자씨' 해석, 유감
  • 김동문
  • 승인 2020.05.17 22: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예수 시대, '겨자씨'는 재배 금지된 잡초라고?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어떤 단어가 주는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있다. 같은 단어도 듣는 이, 사용하는 이에 따라 다양한 느낌과 실체로 다가서기도 한다. 오해와 편견이, 말하는 당사자가 사용한 뜻과 무관하게 자신의 말로 반응할 때 발생하기도 한다.

오늘은 겨자풀에 관한 이야기를 다뤄본다. "잡초가 겨자나무라고?"? 예수의 비유 속에 등장하는 겨자풀은 잡초였나? 이 이야기를 다루면서 몇 사람의 글을 바탕에 두고 겨자씨에 얽힌 이야기를 살펴보았다. 자료를 비교하면서 글쓴이들이 1차 자료가 아닌 2차, 3차 자료를 인용하거나 1차 자료를 오해하는 면도 볼 수 있었다.

 

 

김동문
골란고원에 가득 핀 겨자 꽃 ⓒ김동문

 

1. 겨자풀은 잡초였나?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겨자나무를 보고 실망하는 모습을 보면서, 성경에 나오는 예수님의 수많은 비유들을 바라보는 1세기 유대인들의 시각과 현대 문화의 시각이 너무나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다. 갈릴리 호수 주변에 잡초처럼 자란 겨자풀을 한 번이라도 봤다면, 예수님이 말씀하신 겨자씨 비유를 우리 식으로 잘못 이해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하나님 나라를 겨자씨 한 알에 비유한 말씀을 읽을 때, “겨자씨가 자라서 새가 깃들 정도의 큰 나무가 된다”는 것에 초점을 두면 안 된다.

그러면 겨자씨 비유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여기서 생각해야 할 것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겨자풀은 들에 널려 있는 잡초라는 것이다. 둘째는 하나님이 이런 잡초의 씨 한 알을 자신의 정원에 갖다 심으셨다는 것이다. 볼품없는 잡초를 자기 집 정원에 갖다 심어 애지중지 가꾸는 사람은 없다. 겨자풀은 정원에 갖다 심을 만큼 보기에 아름다운 것도 아니고 향기가 있는 것도 아니다. 정원수로는 전혀 맞지 않는, 그야말로 잡초 중의 잡초다. 정원을 가꾸는 사람에게 가장 큰 적은 이런 잡초들이다. 잡초는 정원에 심을 것이 아니라 전부 뽑아 줘야 한다. 그것이 잡초의 운명이 아니던가? -류모세(2008), 열린다 성경 식물 이야기, pp.163-164

 

류모세 목사의 이같은 주장은 몇 가지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첫째는 "겨자풀은 들에 널려 있는 잡초"라는 주장이다. 이 표현은 조금 조심스럽다. '잡초'라는 단어가 주는 어떤 고정 관념 같은 것 때문이다. '사람의 손을 타지 않고 들판에 자라는 것'을 잡초라고 한다면, 어떤 면에서 겨자를 묘사한 것으로 적당하다. 그러나 예수 시대에 겨자의 존재를 지금의 느낌으로 규정짓는다면, 그것은 다른 문제이다. 예수 시대에 겨자도 재배하는 식물의 하나였다. 야생 겨자가 있었지만, 재배하는 씨앗 식물로서 또 다른 겨자 종류도 존재했다. 지금도 이스라엘, 요르단 등지에는 3가지 이상의 겨자풀이 존재하고 있다. 그 근거는 아래 다른 이야기를 다룰 때 더 다룰 것이다. 겨자풀을 둘러싼 이야기를 다루면서, "1세기 유대인들의 시각과 현대 문화의 시각이 너무나 다르다"는 사실에 주의하여야 한다.

두번째는 겨자의 존재감이다. 우리가 어떤 사물을 비교하려면 그 비교 대상이 적절하여야 한다. 그 기준이 맞아야 한다. 겨자풀과 정원수를 비교하는 것도 조심스럽다. 예수 시대에 겨자풀은 정원수 용도가 아니었다. 그것은 회향 등 다른 종류의 향신료와 더불어 당당한 음식 재료였다. 향신료를 정원수와 비교하는 것이라면, 이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 그 시대에 겨자를 재배하지 못하는 사람은 야생겨자를 활용했을 것이다. 비유가 적절하지 않아 보이지만, 딸기를 재배하지 않는 이는, 야생 딸기(산딸기)를 먹을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그런 점에서 겨자가 "잡초 중의 잡초"일 수 없다.

 

 

2. 잡초같은 인생을 거목으로 키우시겠다?

류모세(2008), 열린다 성경
류모세(2008), 열린다 성경

예수님이 주로 사역하시던 갈릴리 지역의 사람들은 2월이 되면 갈릴리 호수 주변에 잡초처럼 피는 겨자풀을 너무도 잘 알았을 것이다. 예수님은 이런 잡초의 씨앗을 자기 정원에 심어서 새들이 깃드는 큰 나무로 자라게 하겠다고 하셨다. 그들은 이 말씀을 듣고 말로는 설명 못할 큰 은혜를 받았을 것이다. 당시에 갈릴리 주민들은 로마의 압제를 받고 있었다.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으로 한 주류 사회에서 밀려나 ‘이방의 갈릴리’라고 멸시받으면서 잡초처럼 눌려 있었다. 

이런 그들에게 예수님은 잡초의 씨앗을 자기 정원에 심어서 큰 나무가 되게 하겠다고 말씀하셨다. 하나님 나라의 시민들이 바로 이런 잡초 같은 자들임을 전하신 것이다. 실제로 예수님을 따르던 열두 제자들이 수많은 새들이 깃드는 인류의 거목으로 자라지 않았는가

예수님은 3년 동안 공생애 사역을 하면서 잡초처럼 버려진 인생들을 집중적으로 찾고 심방하셨다. 세리와 창기와 문둥병자처럼 사회에서 소외된 자들에게 찾아가셨다. 겨자씨 비유를 몸소 실천하신 것이다. 예수님은 말과 행동이 따로 노는 세상의 인권운동가와 달랐다. 진정 가르침대로 실천하시는 분이었다.

- 류모세(2008), 열린다 성경 식물 이야기, pp.164-165

 

이같은 주장은 은혜롭다. 잡초같은 인생을 향한 하나님의 큰 꿈을 마주하는 것, 그것은 그냥 상상만으로도 힘이 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주장의 근거가 예수의 겨자씨 비유에 나오는 겨자씨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그것은 아쉽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주장을 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이러한 팔레스타인 야생 겨자의 특성을 생각할 때 예수의 비유는 본시 매우 상식적인 의미맥락에서 이루어진 메타포였을 것이다. 자기가 선포하는 천국운동의 잡초적 성격, 즉 아무 데나 씨를 던지기만 해도 무성하게 자라 평원을 휘덮고 만다는 대중운동적 신념을 말한 것이었을 것이다. 예수는 수평적 확산을 말했는데 복음서기자들은 이것을 수직적 확대로 변형시킨 것이다. 그러한 변형태에 도마는 인간 정신의 고양이라는 내면적 성격을 추가하였는데, 결국 공관복음서의 기자들은 바울의 부활론과 함께 종말론적 맥락을 첨가했을 것이다. - [도올의 도마복음] 하늘의 나라여, 들판의 잡초처럼 퍼져라, [중앙선데이] 2009.02.15 02:20

 

이같은 주장이 근거를 갖추려면 겨자풀, 겨자씨 자체에 대한 예수시대의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야 한다. 아래에 이어지는 내용을 통해, 이같은 주장의 근거가 타당한 것인지 짚어본다.

 

 

3. 겨자는 잡초라고 플리니가 말했다?

그래서 하나님의 나라는 제국의 골칫거리다. 하나님의 나라는 제국에 보이지 않게 침투하여 자라는 겨자씨 같은 잡초이며, 여인이 빵에 넣은 누룩이다. 두 비유에 관해서는 크로싼(J. D. Crossan)의 해석이 가장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시했다고 여겨진다. 그에 따르면 “겨자씨”는 일종의 잡초처럼 성가신 식물인데, 하나님의 나라는 마치 잡초처럼 제국에 확장되어 골칫거리가 된다.

대 플리니의 『자연사』의 구절에 따르면 겨자는 잡초이다“겨자는....그 얼얼한 맛과 매운 효과로 건강에 매우 유익하다. 겨자는 전적으로 야생식물이지만, 이식하는 방법도 생겨났다. 그러나 반면에 그 씨를 한 번 뿌리기만 하면 곧바로 싹이 트기 때문에 그 밭에서 겨자를 없앤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 구절을 오크만(D. E. Oakman)은 “겨자는 태고 적부터 경작지의 잡초”였다고 해석한다. 그는 “예수가 하나님의 통치를 잡초와 같은 것으로 의도적으로 비유했다는 결론을 피하기는 힘들다”고 주장한다(J. D. Crossan, 2000, 450-451). 

- 폭력적인 하나님의 나라 - Q복음서의 하나님의 나라 4, 김재현, 에큐메니안 2018.05.06 21:3

 

"대 플리니의 『자연사』의 구절에 따르면 겨자는 잡초이다."? 플리니는 그렇게 말했을까? 글쓴이가 인용한 자료는, Crossan. J. D.  『역사적 예수: 지중해 직역의 한 유대인 농부의 생애』, 김준우 역(서울: 한국기독교연구소, 2000)이다. 이 책의 원서를 보면 아래와 같은 부분이 나온다.

With its pungent taste and fiery effect, mustard is extremely beneficial for the health. It grows entirely wild, though it is improved by being transplanted: but on the other hand, when it has once been sown, it is scarcely possible to get the place free of it, as the seed when it falls germinates at once. (Pliny, "Natural History" 19.170-171; Rackham et al. 5.528-529) - Crossan. J. D(1993), The Historical Jesus, p. 278

The Historical Jesus:
The Life of a Mediterranean Jewish Peasant

"There is, on other words, a distinction between the wild mustard and its domesticated counterpart, but even when one deliberately cultivates the latter for its medicinal or culinary properties, there is an ever-present danger that it will destroy the garden. And, apart from those domesticated types, such as brassica nigra or sinapis alba, there is, as Douglas Oakman emphasizes, the wild mustard, charlock, or sinapis arvensis, whose 'plants have from time immemorial been found as weeds in grain fields' (1986:124). The mustard plant, therefore, is, as domesticated in the garden, dangerous and, as wild in the grain fields, deadly. The point is not just that it starts small and ends big but that its bigness is not exactly a horticultural or agricultural desideratum."

- Crossan. J. D, The Historical Jesus, p. 278

 

오역 아니면 오해?

아래의 두 문장을 다시 읽는다. 서로 비교하면 좋을 거 같다. 오역 아니면 오해의 근거를 유추할 수 있겠다.

이 구절을 오크만(D. E. Oakman)은 “겨자는 태고 적부터 경작지의 잡초”였다고 해석한다. 그는 “예수가 하나님의 통치를 잡초와 같은 것으로 의도적으로 비유했다는 결론을 피하기는 힘들다”고 주장한다. 

Douglas Oakman emphasizes, the wild mustard, charlock, or sinapis arvensis, whose 'plants have from time immemorial been found as weeds in grain fields'

 

이 두 문장 사이에는 간격이 적지 않다. 크로산은 그의 책에서 겨자의 세 종류를 다 언급한다. 오크만이 언급한 것은 그 가운데 야생 겨자 즉 the wild mustard, charlock, or sinapis arvensis에 대한 설명일 뿐이다. 서로 달라 보이는 이 단어는 같은 것을 거듭 거듭 다른 이름으로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오크만(Douglas E. Oakman)의 책에는 뭐라고 적혀 있을까? Jesus and the Economic Questions of His Day(1986), Jesus and the Peasants(2008)을 찾았다. 그런데 위에서 재인용한 글에 나오는 내용을 찾기 힘들다. 그것은 이 표현에 담겨있는 '곡식밭'이라는 제한 사항을 보지 못한 것이다.

예수 시대에 재배되던 향신료였던 흰겨자(sinapis alba)와 검은겨자(brassica nigra) 이야기가 아니다. 또한 이스라엘의 구전 율법, 관습 등에 따르면, 씨앗 식물, 채소, 곡식, 과일나무 등을 심는 공간이 구별되었다. 크로산의 책에서 언급된 오크만의 말은 그 가운데 곡식밭에 연결된 이야기일 뿐이다. 곡식밭을 단순하게 경작지로 오해한 것이다. 참고로 마태복음 13장과 누가복음 13장에 나오는 겨자씨 비유에서, 누가복음만 채소밭으로 적고 있다. 마태복음을 씨앗 작물을 심을 수 있는 밭을 묘사하고 있다. 곡식밭에 겨자풀이 자라면 그 생산력, 확장성이 대단해서 곡식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 그래서 곡식밭 근처에서 겨자풀을 재배하는 것을 금지(참고, Mishnah Kilayim 2:8)했다.

 

크로산의 책은, 플리니가 겨자를 잡초라고 묘사하고 있다고도 말하지 않는다. 잡초와 야생 겨자(wild mustard)를 언급한 것 사이에는 거리가 있다. 그렇다면 플리니의 책은 겨자에 대해 잡초라고 이야기하고 있을까? 

 

Naturalis Historia, 1669

CHAP. 54.—OTHER PLANTS WHICH REQUIRE TO BE SOWN AT THE AUTUMNAL EQUINOX
.... and mustard, which has so pun- gent a flavour, that it burns like fire, though at the same time it is remarkably wholesome for the body. ... There are three different kinds of mustard, the first of a thin, slender form, the second, with a leaf like that of the rape, and the third, with that of rocket: the best seed comes from Egypt. The Athenians have given mustard the name of "napy,"
 others, "thapsi," and others, again, "saurion." 

Pliny (the Elder.)(1890) The Natural History of Pliny, V4  G. Bell,  p.197

CHAP. 87. (22.)—MUSTARD, THE THREE KINDS OF IT: FORTY-FOUR REMEDIES.

Mustard, of which we have mentioned1 three different kinds, when speaking of the garden herbs, is ranked by Pythagoras among the very first of those plants the pungency of which mounts upwards; for there is none to be found more penetrating to the brain and nostrils. ...  Pliny (the Elder.)(1890) The Natural History of Pliny, V4  G. Bell,  pp.288-89

 

 

 

4. 겨자씨를 재배 금지 대상이라고 미쉬나에 적혀있다?

동양에서 약재로 쓴 것은 백개자(白芥子, Sinapis alba)이다. 흑겨자는 근원적으로 재배의 대상이 아닌 잡초에 불과하다. AD 200년경에 편찬된 유대인 랍비의 계율서, 『미쉬나』에도 겨자씨는 정원이나 밭에는 뿌려서는 안 되는 금지종에 속해 있다. 흑겨자는 벌레나 이파리 병을 타지 않으며 악조건의 기후에도 자유롭게 번식하며, 타 식물의 영역을 마구 침범하기 때문에 밭을 금방 망쳐버린다. 거대한 평원에서 잡초로서 자유롭게 자라지 않으면 아니 되는 운명의 종자인 것이다. - [도올의 도마복음] 하늘의 나라여, 들판의 잡초처럼 퍼져라, [중앙선데이] (2009.02.15 02:20)

"흑겨자는 근원적으로 재배의 대상이 아닌 잡초에 불과하다."? 이 주장은 사실이 뒤섞여 있다. 이스라엘이나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특히 갈릴리 지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겨자는 김용옥의 표현을 빌리자면 백개자이다. 흑겨자와 백겨자를 함께 씨를 뿌리지 말라는 언급이 미쉬나에 등장한다. 미쉬나에서 이집트 겨자로 불리는 것을 흑겨자로 보는 시각이 있다.

Mishnah Kilayim 1:2 הַקִּשּׁוּת וְהַמְּלָפְפוֹן, אֵינָם כִּלְאַיִם זֶה בָזֶה. רַבִּי יְהוּדָה אוֹמֵר, כִּלְאָיִם. חֲזֶרֶת וַחֲזֶרֶת גַּלִּים, עֻלְשִׁין וְעֻלְשֵׁי שָׂדֶה, כְּרֵשִׁים וּכְרֵשֵׁי שָׂדֶה, כֻּסְבָּר וְכֻסְבַּר שָׂדֶה, חַרְדָּל וְחַרְדָּל מִצְרִי, וּדְלַעַת הַמִּצְרִי וְהָרְמוּצָה, וּפוֹל מִצְרִי וְהֶחָרוּב, אֵינָם כִּלְאַיִם זֶה בָזֶה: / Cucumbers and melons do not constitute kilayim one with the other. Rabbi Judah said they do constitute kilayim. Lettuce and wild lettuce, endives and wild endives, leek and wild leek, coriander and wild coriander, or mustard and Egyptian mustard, Egyptian gourd and the bitter gourd, or Egyptian beans and carob shaped beans do not constitute kilayim one with the other.

"『미쉬나』에도 겨자씨는 정원이나 밭에는 뿌려서는 안 되는 금지종에 속해 있다."? 미쉬나에서 겨자씨 파종이나 재배 관련하여 실제로 언급하고 있는 내용은 무엇일까? Mishnah Kilayim 2:8, 9에 그 실마리가 나온다.

אֵין סוֹמְכִין לִשְׂדֵה תְבוּאָה חַרְדָּל וְחָרִיעַ, אֲבָל סוֹמְכִין לִשְׂדֵה יְרָקוֹת חַרְדָּל וְחָרִיעַ. וְסוֹמֵךְ לְבוּר, וּלְנִיר, וּלְגָפָה, וּלְדֶרֶךְ, וּלְגָדֵר גָּבוֹהַּ עֲשָׂרָה טְפָחִים, וּלְחָרִיץ שֶׁהוּא עָמֹק עֲשָׂרָה וְרָחָב אַרְבָּעָה, וּלְאִילָן שֶׁהוּא מֵסֵךְ עַל הָאָרֶץ, וּלְסֶלַע גָּבוֹהַּ עֲשָׂרָה וְרָחָב אַרְבָּעָה: / הָרוֹצֶה לַעֲשׂוֹת שָׂדֵהוּ קָרַחַת קָרַחַת מִכָּל מִין, עוֹשֶׂה עֶשְׂרִים וְאַרְבַּע קָרָחוֹת לְבֵית סְאָה, מִקָּרַחַת לְבֵית רֹבַע, וְזוֹרֵעַ בְּתוֹכָהּ כָּל מִין שֶׁיִּרְצֶה. הָיְתָה קָרַחַת אַחַת אוֹ שְׁתַּיִם, זוֹרְעָם חַרְדָּל. שָׁלֹשׁ, לֹא יִזְרַע חַרְדָּל, מִפְּנֵי שֶׁהִיא נִרְאֵית כִּשְׂדֵה חַרְדָּל, דִּבְרֵי רַבִּי מֵאִיר. וַחֲכָמִים אוֹמְרִים, תֵּשַׁע קָרָחוֹת מֻתָּרוֹת, עֶשֶׂר אֲסוּרוֹת. רַבִּי אֱלִיעֶזֶר בֶּן יַעֲקֹב אוֹמֵר, אֲפִלּוּ כָל שָׂדֵהוּ בֵּית כּוֹר, לֹא יַעֲשֶׂה בְתוֹכָהּ חוּץ מִקָּרַחַת אַחַת:

They may not sow mustard or safflower close to a field of grain, but they may sow mustard or safflower close to a vegetable field. And they may sow close to fallow land or to plowed land, or to a wall made with loose stones, or to a path, or to a fence ten handbreadths high, or to a trench ten [handbreadths] deep and four wide, or to a tree forming a tent over the ground, or to a rock ten [handbreadths] high and four wide. / One who wishes to make his field into square plots [each sown] with a different species, he should divide it into twenty-four square plots for a bet seah, a square plot per bet rova, and he may then sow in each whatever species he wants. If there is one square plot or two [inside his field], he may sow them with mustard, but if there are three he may not sow them with mustard, since it looks like a field of mustard, the words of Rabbi Meir. But the sages say: nine square plots are permitted, ten are forbidden. Rabbi Eliezer ben Yaakov says: even though the whole of his field is a bet-kor, he may not make within it more than one square plot.

정원이나 밭에는 뿌려서는 안 되는 금지종이 아니라 다른 씨앗과 함께 밭에 뿌릴 때 제한, 조건이 있는 것 뿐이다. 김용옥의 주장은 사실 관계가 맞지 않다.

또한 "거대한 평원에서 잡초로서 자유롭게 자라지 않으면 아니 되는 운명의 종자인 것이다."는 주장도 사실이 아니다. 미쉬나는 물론 유대 문헌에도 겨짜는 씨앗 작물로 재배하는 이야기가 등장한다. 그냥 잡초로 취급되지 않는다. 야생 겨자가 존재한다고 겨자 재배가 무시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겨자씨 비유에서 '정원'(개역개정: 채소밭)과 '나무'라는 두 개의 파격을 만난다. 겨자는 미쉬나에서 관목(덤불)으로 분류되고 있다. 겨자는 관상의 가치도 땔감으로도 쓸 수 없는 하찮고 들판 곳곳 지천에 널린 덤불이다.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는 마치 잡초와도 같다. 따라서 율법에 의하면, 겨자씨를 정원에 심는 것이 금지되었다. 하지만 비유가 말하는 역설은 이러한 겨자씨가 정원에 심겼고, 자라서 풀(덤불)이 아닌 나무가 되었다는 것이다. - 김형동 교수/부산장신대·신약학 한국기독공보  2019년 05월 03일(금) 09:26

"겨자는 미쉬나에서 관목(덤불)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러나 미쉬나에는 겨자는 씨앗작물로 구분하고 있다.

כָּל מִין זְרָעִים אֵין זוֹרְעִים בַּעֲרוּגָה, וְכָל מִין יְרָקוֹת זוֹרְעִין בַּעֲרוּגָה. חַרְדָּל וַאֲפוּנִים הַשּׁוּפִין, מִין זְרָעִים. אֲפוּנִים הַגַּמְלָנִים, מִין יָרָק. / They may not sow different species of seeds in one bed, but they may sow different species of vegetables in one bed. Mustard and small polished peas are a species of seed; large peas are a species of vegetable. - Mishnah Kilayim 3:2

 

어떤 면에서 채소 종류와의 경계선에 서 있는 씨앗작물이다. 겨자풀이 관목으로 분류되고 있다는 주장의 근거가 궁금하다.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는 마치 잡초와도 같다."?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는 식물도 아니다. 겨자씨는 기름으로, 향신료도 사용되었다. 한낱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는 잡초 같은 존재에 대해 미쉬나가 언급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겨자씨는 미쉬나에서 십일조 대상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רַבָּן שִׁמְעוֹן בֶּן גַּמְלִיאֵל אוֹמֵר, תְּמָרוֹת שֶׁל תִּלְתָּן וְשֶׁל חַרְדָּל וְשֶׁל פּוֹל הַלָּבָן, חַיָּבוֹת בַּמַּעֲשֵׂר. / Rabban Gamaliel says: shoots of fenugreek, of mustard, and of white beans are liable [to tithe]. - Mishnah Maasrot 4:6

 

"겨자씨를 정원에 심는 것이 금지되었다"? 글쓴이가 정원을 어떤 의미로 사용하였는가에 따라 반응은 달라질 수 있다. 겨자씨도 밭에 심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나 다른 채소 종류와 심는 것이나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인접하여 심는 것이 금지되었다. 위와 같은 표현은 겨자가 잡초이기에 심는 것 자체가 금지된 것으로 오해할 여지가 있다. 미쉬나에는 가장 대표적인 향신료의 하나였던 회향과 더불어 겨자를 재배하는 조건에 관한 이야기도 언급된다. 

אֵין סוֹמְכִין לִשְׂדֵה תְבוּאָה חַרְדָּל וְחָרִיעַ, אֲבָל סוֹמְכִין לִשְׂדֵה יְרָקוֹת חַרְדָּל וְחָרִיעַ. / They may not sow mustard or safflower close to a field of grain, but they may sow mustard or safflower close to a vegetable field. - Mishnah Kilayim 2:8

וּמוֹדִים חֲכָמִים לְרַבִּי עֲקִיבָא בְּזוֹרֵעַ שֶׁבֶת אוֹ חַרְדָּל בִּשְׁלשָׁה מְקוֹמוֹת, שֶׁהוּא נוֹתֵן פֵּאָה מִכָּל אֶחָד וְאֶחָד: /The sages agree with Rabbi Akiba that one who sows dill or mustard in three places must give peah from each place. - Mishnah Peah 3:2

 

 

김동문
ⓒ김동문

 

겨자풀은 잡초였나? 물론 잡초처럼 야생으로 자라는 야생 겨자도 있었다. 그렇지만 겨자풀은 엄연한 식용작물이었다. 심고 가꾸는 존재로, 씨앗 식물로, 향신료로, 십일조의 대상으로 예수 시대에 자리했다. 어떤 주장을 하면서, 1차 자료에 대한 확인 없이 2차 3차 자료가 손쉽게 공유되는 것 같다. 겨자씨 관련한 이야기에도 크게 다르지 않은 듯하다. 여하튼 예수의 겨자씨 비유는 겨자씨가 갖는 생산력, 확장성을 바탕에 깔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그것을 넘어서서 겨자풀을 예수 시대의 뭇 백성, 잡초같은 인생 등으로 확장하는 것은, 지나친 상상력의 발휘가 아닌가 싶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