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법(토라 תורה), 부모(호림 הורים), 선생(모림 מורים)은 한 단어에서 나왔다? - 오류
율법(토라 תורה), 부모(호림 הורים), 선생(모림 מורים)은 한 단어에서 나왔다? - 오류
  • 김동문
  • 승인 2020.05.11 09: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히브리어에 대한 오해와 오용의 사례가 적지 않아
KBS <공부하는 인간-호모 아카데미쿠스> 방송(2013.03.21) 화면 갈무리

어떤 면에서 한국 기독교인 가운데는 히브리어에 대한 깊은 경외감을 갖고 있는 이들이 적지 않은 것 같다. 같은 말도 히브리어로 표현하면, 더 거룩(?)한 듯 반응하는 경우가 그렇다. 넉넉하게 한국어로 옮겨적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 평범한 어휘조차, 히브리어로 말하면 뭔가 더 있어 보이는 모양이다.

 

어떤 주장

 

이스라엘을 존재케하는 원동력이었는데, 첫째는 토라(율법)의 힘, 둘째는 모림(선생)의 힘, 셋째는 호림(부모)의 힘이었다. 이스라엘에서 좋은 부모는 사회적으로 신분이 높거나 많은 유산을 물려주는 사람이 아니다. 자녀들에게 율법을 잘 가르쳐 주고 하나님의 법도 안에서 바르게 살아갈 수 있도록 양육해주는 분이 가장 훌륭한 부모이다.

이 교육은 십계명을 이용해 성경공부, 드라마, 토론수업, 노래파티, 댄스, 게임, 여행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태아부터 청소년, 부모와 교사에 이르기까지 두루 십계명에 접근하여 행동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교육 과정도 티노콧트(영·유아부 교육원), 알데이 예슈아(아동부), 브네이-노아르(청소년부), 호림스쿨(부모 교육), 모림 클리닉(교사 대학)으로 분류된다.

그러다보니 히브리어로를 모르는 이도 히브리어로 상상의 나래를 편다. 아래와 같은 글을 읽었다. 한 지인이 이 내용에 대해 의견을 물어온 까닭에 읽게 된 내용이다.

히브리어로 하나님의 말씀인 율법을 ‘토라’(תורה), 부모를 ‘호림’(הורים), 선생을 ‘모림’(מורים)이라고 한다. 이 세 단어는 ‘가르치다.’, ‘교훈하다.’, ‘어떤 모양으로 만들다.’는 뜻의 ‘야라’(ירה)라는 단어에서 왔다. 즉 어원이 같다. 이는 부모가 어떤 존재인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부모는 자녀 인생의 이정표(토라)이자 선생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한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에게 토라를 주셨고, 부모는 자녀에게 토라를 가르치는 사명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주장과 사실 확인

 

위의 주장은 히브리어 야라((ירה)라는 단어에서 선생(모림 מורים), 부모(호림 הורים)이라는 단어가 파생되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히브리어 호림(הורים)과 모림(מוֹרִים)의 어근은 다르다. 호림(הורים)의 어근은, 하라(הָרָה)로 임신하다, 임태하다, 상상하다 등의 뜻을 갖는다. 부모의 존재감을 잘 표현하는 단어이다. 또한 호림은, 하라에서 파생된, 가르치다는 뜻을 갖고 있는 호라(הוֹרָה)에서 나왔다. 모림(מוֹרִים)은 교사의 뜻을 가진 '모레'(מוֹרֶה)의 2인칭 남성 복수형 히브리어로, 어근은 야라(יָרָה)이다. 그 뜻은 흐르다, 던지다, 쏘다, 가리키다, 가르치다 등의 뜻이다. 

서로 다른 기원을 갖고 있는 이 두 단어를 같은 어근, 같은 뿌리를 갖고 있는 단어로 풀이한 위와 같은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아래와 같은 변형된 주장도 있다.

히브리어로 산을 ‘하림’ 이라고 하고, 부모는 ‘호림’ 이라고 하며, 스승을 ‘모림’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유대인들은 부모와 스승은 산과 같은 것이어서 보통의 사람들보다도 높이 우뚝 솟아 있다고 여깁니다.

"히브리어로 산을 ‘하림’ 이라고" 한다는 주장은 특이하다. 산은 히브리어로 '하르'(הַר)이고, 복수형으로 '하림'(הָרִים‎)으로 표기한다. 헤림(הֵרִים )이라는 히브리어 동사가 '기르다'는 뜻을 가지지만, 산의 복수형 하림(הָרִים)과는 전혀 관련없는 동사이다. 히브리어 알파벳 모양이 닮았을 뿐이다.

히브리어로 부모는 '호림'이라고 한다. 교사는 '모림'이라고 한다. 토라는 '모레'라는 하는 히브리어 어원과 같다. 부모와 교사, 토라는 서로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부모는 자녀에게 토라를 가르칠 의무가 있다.

 

히브리어에 대한 오해 벗기

 

히브리어 토라(תּוֹרָה)는 어근이 야라(יָרָה)이다. 이 단어에서 파생된 어휘의 하나가 토라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옮겨적는 과정에서 오타와 오류가 뒤섞여 낯섫은 주장이 담겼다.

히브리어는 신비한 언어이며, 그 안에 대단한 비밀이 숨겨져 있는 것으로 가르치는 이들이 많이 있음을 본다. 히브리어 알파벳에 거대한 비밀이 숨겨져 있는 것처럼 가르치기도 한다. 히브리어 문자를 한자와 같이 이해하여 히브리어 문자에서 '십자가'를 도출해내기도 하고, '못 박히신 예수'를 언급하기도 한다. 더욱 더 심각한 문제는 히브리어에 대한 그릇된 지식을 바탕으로, 히브리어 성경 본문을 해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잘못된 영향을 받아, 신학을 전혀 접하지 않은 이들조차 사실무근이며 근거 없는 정보를 이곳 저곳에서 전달하고 있음을 본다. - 권성달 교수(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구약학)

 

온라인과 글과 말, 설교 등에서 마주하는 히브리어에 대한 오해와 오용, 남용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 좋은 말과 글이라고 해도 '복사하여 붙이기' 하는 것에는 늘 주의가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